본문 바로가기

게임수학6

게임수학] 진수 [진수]1. 진수 란?- 진수(進數)는 수를 표현하는 기수법으로, 숫자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본 단위와 자리값 체계를 뜻한다. - 진수(Base or Radix)는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숫자 체계이다. - 기수법은 특정 "기수(Base)"를 기준으로 숫자를 표현한다. - 진수의 핵심 개념 - 기본단위 : 사용할 숫자의 갯수 / 자리값 : 각 자리에 해당하는 값이 기수의 거듭제곱에 의해 결정된다. 2. 진수의 종류- 2진수 (Binary) 기수: 2 사용하는 숫자: 0, 1 컴퓨터가 데이터를 처리하는 기본 진수. 비트(Bit)와 관련 있음. - 8진수 (Octal) 기수: 8 사용하는 숫자: 0, 1, 2, 3, 4, 5, 6, 7 과거 컴퓨터 시스템에서 사용되던 진수. 3비트 단위로 묶어서 데.. 2024. 12. 21.
게임수학] 메모리-바이트-비트 [메모리-바이트-비트]1. 메모리 란?- 메모리는 프로그램이나 게임 정보를 저장하는영역이다.- 메모리는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공간이다.- 프로세서(CPU)가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메모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.- 속도와 용량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, 주로 휘발성(Volatile)과 비휘발성(Non-Volatile)으로 나뉩다. 사람들이 주로 말하는 16GB, 256MB같은 것이 메모리의 최소 단위인 바이트(Byte)이다.컴퓨터의 메모리는 최소 단위인 1바이트가 모여 구성된다. 2. 바이트와 비트- 1바이트(Byte)는 8비트(Bit)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다. - 1비트(Bit)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. 따라서, 바이트는 비트의 집합으로, 더 많은 정.. 2024. 12. 21.
게임수학] 내각 [내각] 삼각형의 세 변 중 두 개의 변이 이루는 각을 내각(Interior Angle)이라고 한다. 세 개의 내각의 합은 항상 180도다. 2018. 12. 19.
게임수학] 직각삼각형 [직각 삼각형] 직각삼각형 세 개의 정점 부분의 내각 중 하나가 직각(90도)을 이루는 직각삼각형(Right-Angled Triangle)이다. 정점B 부분의 내각이 직각을 이룬다. 직각 맞은편의 비스듬한 변은 빗변(Hypotenuse)이라고 한다. 또한, 바닥에 있는 것을 밑변(Adjacent), 남은 변을 높이(Opposite)라고 한다. ​ 직각삼각형에서 세 변의 길이와, 빗변과 밑변이 이루는 내각의 각도 θ(세타, Theta)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이용해서 삼각함수를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한다. 2018. 12. 19.
게임수학] 삼각형 [삼각형] 삼각형 (Triangle) 세 개의 정점 (꼭짓점, Vertex)으로 이루어진다. 정점으로 세 개의 변 (Edge)이 정해진다. 2018. 12. 19.
게임수학] 피타고라스의 정리 [피타고라스의 정리] 피타고라스의 정리 피타고라스의 정리(Pythagorean Theorem)는 빗변의 길이를 h, 밑변의 길이를 a, 높이의 길이를 o으로 했을 때, 이 식이 성립한다. h2=a2+o2 (빗변의 제곱은 밑변의 제곱 더하기 높이의 제곱이다.) 정리(Theorem)란 이미 증명(Proof)된 명제로, 어쨌든 올바르다는 사실이 보증된 사항이다. 2018. 12. 18.
728x90